페이지 레이아웃 (컬럼,그리드,여백)
WordPress 페이지 레이아웃 구성 가이드
컬럼, 그리드, 여백 구성으로 레이아웃을 자유롭게 디자인하는 방법
✅ 1. 레이아웃 구성의 기본: 블록 에디터
WordPress는 기본적으로 **블록 기반 에디터(Gutenberg)**를 사용합니다. 페이지나 글 작성 시 다양한 레이아웃 블록을 활용해 구성할 수 있습니다.
2. 컬럼 블록 (Columns)
컬럼이란?
콘텐츠를 좌우로 나눠 배치하는 방식 예: 왼쪽에 이미지, 오른쪽에 텍스트

🎯 사용 방법
페이지 편집기에서 “+ 블록 추가” 클릭
“열(Columns)” 검색 후 선택
2개, 3개, 70/30 비율 등 원하는 형태 선택
각 칸 안에 이미지 / 텍스트 / 버튼 등 원하는 블록 삽입



💡 활용 예시
프로필 + 설명
서비스 목록
버튼 + 이미지 병렬 배치
3. 그리드 레이아웃 만들기
Gutenberg(블록 에디터)에서 제공하는 기본 그리드 블록을 사용하여 콘텐츠를 가로로 배치하거나, 카드 형태의 그리드 레이아웃을 만드는 방법
✅ 1단계. 그리드 블록 추가
페이지 편집기에서
+
버튼 클릭검색창에 "그리드" 입력
"그리드" 블록 클릭하여 추가

✅ 2단계. 열(Column) 개수 선택
블록을 추가하면
2열 / 3열 / 4열 / 사용자 지정
중 선택 가능기본적으로는
3열
이 많이 사용됨 (서비스 소개, 기능 목록 등)
✅ 예: 3열 그리드
선택 → 좌우 3개의 칸이 생성됨

✅ 3단계. 각 칸 안에 콘텐츠 추가
각 열(컬럼) 안에 원하는 콘텐츠를 자유롭게 넣을 수 있습니다.
예시:
이미지
이미지
블록
아이콘
이모지
, 또는 플러그인 블록
제목
단락
, 헤딩
블록
설명
단락
블록
버튼
버튼
블록 (링크 연결 가능)
✅ 4단계. 여백 및 정렬 조정
각 열마다 정렬(가운데, 좌측, 우측)을 설정 가능
전체 그리드 블록 선택 후 우측에서 여백(padding) 또는 배경색 설정 가능
블록을 감싸는
그룹(Group)
블록으로 추가 마진/패딩 줄 수도 있음
🧩 실전 예시: 3열 카드형 서비스 소개
[그리드: 3열]
├─ [이미지]
├─ 제목: "빠른 설치"
└─ 설명: "1분만에 워드프레스 설치 완료"
┆
├─ [이미지]
├─ 제목: "자동 백업"
└─ 설명: "매일 백업으로 안심 운영"
┆
├─ [이미지]
├─ 제목: "쉬운 관리"
└─ 설명: "초보자도 쉽게 설정 가능"


✅ 5단계. 반응형 확인
워드프레스 기본 그리드는 자동 반응형입니다.
화면이 좁아질수록 1열, 2열로 자동 전환되므로 모바일에서도 깔끔하게 표시됩니다.

※추가 - 분리자 선 (구분자) 사용
분리자 을 이용하면 페이지의 각 영역을 시각적으로 분리하는 효과를 주며, 보다 깔끔한 페이지 구분선이 됩니다.



📌 마무리 팁
여백 조절
상위 그룹 블록
으로 감싸서 padding 추가
아이콘 사용
텍스트 이모지(예: 💡) 또는 SVG 이미지
버튼 넣기
각 칸 하단에 버튼
블록 추가 + 링크 연결
강조 색상
배경색 또는 그림자(shadow)는 고급 설정 or CSS 사용
4. 여백 설정 (Padding / Margin)
🎯 방법 A. 블록 자체 설정
블록을 클릭하면 우측 설정창에 “고급 → 공백(padding/margin)” 항목 존재
숫자(예:
20px
) 또는%
,em
단위로 조절 가능
🎯 방법 B. 플러그인 이용 시 더 쉬움
예: Kadence Blocks → 각 블록마다 시각적으로 마진/패딩 설정 가능

📝 실전 예시: 2단 컬럼 + 버튼 + 여백 구성
css복사편집[컬럼 블록 - 2개]
├ 왼쪽: 이미지
└ 오른쪽:
├ 제목 (헤딩 블록)
├ 설명 텍스트
├ 버튼 블록 (링크 연결)
└ 여백: 아래 패딩 40px 적용
이렇게 구성하면 대표 소개 섹션으로도 훌륭하게 사용 가능
✅ 마무리 팁
컬럼 구조
기본 컬럼 블록, 플러그인 Row 블록
반복형 카드
Stackable Grid, Spectra Container
여백 조절
고급 설정 or 플러그인 여백 도구
반응형 대응
플러그인 사용 시 모바일 자동 정렬됨
📌 추가 자료
더 고급 디자인을 원하는 경우
Elementor
같은 페이지 빌더도 고려 가능 그러나 블록 에디터 + Kadence Blocks만으로도 90% 구현 가능
Last updated